본문 바로가기

안드로이드/개발

안드로이드 개발 구축 환경

오늘 한번 설치하면서 몇가지 오류를 넘어서고 환경설치를 마쳤다.

 

어찌보면 너무 간단한건데.. 몰라서 실수하고 왜 안되나 괜히 고민했던 부분들이 있어 한번 남겨 보았다.

 

 

1. 자바 설치

   - 상기 내용은 자바 설치로 치면 아주아주 잘 나와 있다.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는 자바기반이기에 안드로이드 개발을 꿈꾸시는 분들은 자바쯤은 설치 하셨으리라 생각하고 넘어가겠다. 단 자바가 32bit 인지 64bit 인지 확인이 필요하다.

안드로이드 개발툴인 eclipse와 설치환경이 동일하게 받아야 제대로 실행이 되기 때문이다.

 

2. 안드로이드 개발툴 설치

   - 예전엔 eclipse 따로 받고 SDK따로 받고 어찌어찌 하는거 같은데.. 이제 시작을 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ADT라고 하여 묶음 패키지 세트를 다운받아서 한방에 설치 할 수 있다.

다운로드 사이트 : http://developer.android.com/sdk/index.html

여기서 다운로드시에 1번 자바 설치시 했던 자신의 PC 환경을 동일하게 맞춰야 eclipse 실행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잘 넘어간다.

여기서 다운받은 zip 압축파일을 풀면 폴더2개와 파일 하나가 나온다.(eclipse 폴더, sdk 폴더, SDK Manager 파일)

다른건 필요없고 다들 아시겠지만 eclipse 는 따로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.

eclipse 폴더에서 실행파일만 실행하면 짜짠 하고 나타난다.

eclipse를 실행한 후에 상단 좌측 Source 메뉴 아래에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같은 밑으로 화살표가 된 아이콘이 있다.

이게 SDK Manager 이다. 파일로 있는걸 실행하는거와 동일하다.

이 아이콘을 클릭하여 SDK Manager를 실행시킨 후 자신이 개발에 필요한 항목들을 인스톨해주면 된다.

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개발시 안드로이드 OS버전을 자주 사용하는것들과 맨 아래쯤에 Google USB Driver 부분을 체크해서 인스톨한다. 이 USB Driver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연결해서 바로 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.

나는 아직 안드로이드 제품이 없지만.. 추후를 위해서.. 뭐.. 나중에 받아도 되겠지만 받아놓았다.

안드로이드 OS 버전 중 최근 4.0 이후 버전 위주로 설치하면 된다.

나중에 또 필요하면 또 설치해도 되고 필요없으면 삭제도 되니 큰 부담없이 인스톨한다.

 

3. 애뮬레이터 실행

만약 안드로이드 기기가 없다면 PC환경에서 제공해주는 애뮬레이터를 실행하여 빌딩한 내용을 확인 해야한다.

이를 위해서 자신이 빌딩할 제품 환경을 만들고 거기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.

애뮬레이터는 2번에서 SDK Manager를 실행한 아이콘 바로 우측옆에 아이콘이다.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를 실행하면 첫번째 탭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 우측에 New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안드로이드 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.

기본적으로 AVD Name은 아무거나 해주고 Device를 선택해준다. 그리고 OK를 눌러주면 왼쪽 빈 박스에 방금 만든 개발 환경이 들어가 있다. 이를 선택하고 Start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가상머신이 구동된다.

구동되는데.. 시간이 한참 걸리고 난 후에 핸드폰 화면이 짜잔 나오면 된다.

 

이때 가끔 환경을 설정했는데 에러문구로 failed to allocate memory 8 이 나오기도 한다.

이때 당황하지말고.. 아래 경로로 파일을 찾아 들어가서 config.ini파일을 수정해주면 된다.

 

C:\Users\Administrator\.android\avd\AND.avd

config.ini

내용중에 아래

hw.ramSize=1024

처럼 나온 부분을

hw.ramSize=1024MB

과 같이 메모리사이즈라고 나온 부분뒤 숫자에 MB라고 단위만 써주고 저장하면 된다.

 

그러면 다시 실행시 언제 그랬냐는듯 제대로된 환경에서 안드로이드가 가상머신이 구동된다. 핸드폰 화면까지 전부 나와야한다.

집 컴퓨터가 i5에 SSD인데도.. 생각보다 느리게 뜬다....

 

4. 헬로우 월드 애뮬 빌딩 테스트

이제 File->New 를 선택하고 신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선택해 보자.

짜잔~ 안드로이드 메인페이지의 샘플과 함께 hello World가 쓰여있다. 간단하다. 좀전에 띄운 안드로이드 가상 머신에 이 헬로우월드를 띄우기 위해선 RUN을 하면된다. Ctrl+F11로 단축키도 되어있다.

그러면 좀 전에 띄웠던 가상머신에 이 테스트 화면이 짠 하고 나온다.

 

여기까지가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 구축이다.

 

 

'안드로이드 >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. Hello World 문구 바꾸기  (0) 2013.08.06